도움말
동영상강좌
음성강좌
기타형식
MST -> VOD 변환강좌
신규강좌
모바일지원
고화질강좌
영상내자막중복, 노후, 오류 등 이유로 2020년 6월 1일 이후 자료강좌실에서 서비스 예정.
《明心寶鑑》은 인간의 일상생활에 필요한 격언을 각종서적에서 발췌하여 만든 책으로 저자는 대체로 明나라 초기의 范立本으로 알려져있다. 문장이 평이하면서도 누구나 동감하고 수긍할 수 있는 처세와 격언이 담뿍 들어있어 그 어느 책보다도 많이 읽히고 있는 책이다.
| 1-1 강 | 繼善篇 : 子曰 爲善者는 |
25분 40초 |
수강
-
|
| 1-2 강 | 繼善篇 : 馬援曰 終身行善이라도 |
27분 10초 |
수강
-
|
| 1-3 강 | 繼善篇 : 莊子曰 於我善者도 |
19분 40초 |
수강
-
|
| 1-4 강 | 天命篇 : 孟子曰 順天者는 |
10분 40초 |
수강
-
|
| 1-5 강 | 天命篇 : 益智書云 惡관이 |
11분 30초 |
수강
-
|
| 1-6 강 | 順命篇 : 子曰 死生有命이요 |
22분 00초 |
수강
-
|
| 2-1 강 | 孝行篇 : 詩曰 父兮生我하시고 |
13분 10초 |
수강
-
|
| 2-2 강 | 孝行篇 : 子曰 父命召어시든 |
07분 40초 |
수강
-
|
| 2-3 강 | 正己篇 : 性理書云 見人之善이어든 |
15분 10초 |
수강
-
|
| 2-4 강 | 正己篇 : 康節邵先生曰 |
10분 20초 |
수강
-
|
| 2-5 강 | 正己篇 : 太公曰 勤爲無價之寶요 |
11분 20초 |
수강
-
|
| 2-6 강 | 正己篇 : 孫眞人養生銘云 |
14분 20초 |
수강
-
|
| 2-7 강 | 正己篇 : 夷堅志云 避色을 |
10분 10초 |
수강
-
|
| 2-8 강 | 正己篇 : 太公曰 欲量他人인대 |
14분 20초 |
수강
-
|
| 2-9 강 | 正己篇 : 耳不聞人之非하고 |
09분 30초 |
수강
-
|
| 2-10 강 | 正己篇 : 紫虛元君誠諭心文曰 |
02분 50초 |
수강
-
|
| 2-11 강 | 正己篇 : 戒眼하여 莫看他非하고 |
06분 20초 |
수강
-
|
| 2-12 강 | 正己篇 : 損人終自失이요 |
11분 20초 |
수강
-
|
| 3-1 강 | 安分篇 : 景行錄云 知足可樂이요 |
13분 00초 |
수강
-
|
| 3-2 강 | 存心篇 : 景行錄云 坐密室을 如通衢하고 |
19분 10초 |
수강
-
|
| 3-3 강 | 存心篇 : 子曰 聰明思睿라도 守之以愚하고 |
07분 00초 |
수강
-
|
| 3-4 강 | 存心篇 : 孫思邈曰 膽欲大而心欲小하고 |
14분 40초 |
수강
-
|
| 3-5 강 | 存心篇 : 寇萊公六悔銘云 官行私曲失時悔요 |
14분 30초 |
수강
-
|
| 3-6 강 | 存心篇 : 景行錄云 責人者는 |
19분 10초 |
수강
-
|
| 4-1 강 | 戒性篇 : 景行錄云 人性이 |
14분 50초 |
수강
-
|
| 4-2 강 | 戒性篇 : 子張이 欲行에 辭於夫子할새 |
09분 50초 |
수강
-
|
| 4-3 강 | 戒性篇 : 子張曰 不忍則如何닛고 |
07분 20초 |
수강
-
|
| 4-4 강 | 戒性篇 : 景行錄云 屈己者는 |
14분 10초 |
수강
-
|
| 4-5 강 | 勤學篇 : 子夏曰 博學而篤志하고 |
15분 30초 |
수강
-
|
| 4-6 강 | 勤學篇 : 朱文公曰 家若貧이라도 |
08분 40초 |
수강
-
|
| 4-7 강 | 勤學篇 : 徽宗皇帝曰 學者는 |
07분 10초 |
수강
-
|
| 5-1 강 | 訓子篇 : 景行錄云 賓客不來면 |
12분 50초 |
수강
-
|
| 5-2 강 | 訓子篇 : 呂滎公曰 內無賢父兄하고 |
11분 10초 |
수강
-
|
| 5-3 강 | 省心篇 上 : 景行錄云 寶貨는 |
10분 00초 |
수강
-
|
| 5-4 강 | 省心篇 上 : 旣取非常樂이어든 |
05분 50초 |
수강
-
|
| 5-5 강 | 省心篇 上 : 子曰 不觀高崖면 |
07분 00초 |
수강
-
|
| 5-6 강 | 省心篇 上 : 景行錄云 明朝之事를 |
07분 20초 |
수강
-
|
| 5-7 강 | 省心篇 上 : 景行錄云 木有所養이면 |
12분 10초 |
수강
-
|
| 5-8 강 | 省心篇 上 : 諷諫云 水底魚天邊雁은 |
05분 20초 |
수강
-
|
| 5-9 강 | 省心篇 上 : 太公曰 凡人은 |
05분 30초 |
수강
-
|
| 6-1 강 | 省心篇 上 : 䟽廣曰 賢而多財則損其志 |
07분 00초 |
수강
-
|
| 6-2 강 | 省心篇 上 : 擊壤詩云 平生에 |
08분 20초 |
수강
-
|
| 6-3 강 | 省心篇 上 : 王參政四留銘曰 |
07분 20초 |
수강
-
|
| 6-4 강 | 省心篇 上 : 黃金이 未是貴요 |
10분 40초 |
수강
-
|
| 6-5 강 | 省心篇 上 : 史記曰 郊天禮廟는 |
07분 40초 |
수강
-
|
| 6-6 강 | 省心篇 上 : 荀子曰 士有妬友則賢交不親하고 |
05분 10초 |
수강
-
|
| 6-7 강 | 省心篇 上 : 康節邵先生曰 閑居에 |
13분 40초 |
수강
-
|
| 6-8 강 | 省心篇 上 : 花落花開開又落하고 |
08분 40초 |
수강
-
|
| 6-9 강 | 省心篇 上 : 堪歎人心毒似蛇라 |
12분 40초 |
수강
-
|
| 7-1 강 | 省心篇 下 : 眞宗皇帝御製曰 |
06분 50초 |
수강
-
|
| 7-2 강 | 省心篇 下 : 神宗皇帝御製曰 |
13분 20초 |
수강
-
|
| 7-3 강 | 省心篇 下 : 高宗皇帝御製曰 |
08분 20초 |
수강
-
|
| 7-4 강 | 省心篇 下 : 王良曰 欲知其君인대 |
06분 30초 |
수강
-
|
| 7-5 강 | 省心篇 下 : 景行錄云 大丈夫見善明故로 |
13분 20초 |
수강
-
|
| 7-6 강 | 省心篇 下 : 壯元詩云 國正天心順이요 |
07분 20초 |
수강
-
|
| 7-7 강 | 省心篇 下 : 康節邵先生曰 有人來問卜하되 |
08분 50초 |
수강
-
|
| 7-8 강 | 省心篇 下 : 渴時一滴은 如甘露요 |
06분 10초 |
수강
-
|
| 7-9 강 | 省心篇 下 : 濂溪先生曰 巧者言하고 |
05분 50초 |
수강
-
|
| 7-10 강 | 省心篇 下 : 說苑曰 官怠於宦成하고 |
08분 50초 |
수강
-
|
| 7-11 강 | 省心篇 下 : 益智書云 白玉은 |
06분 20초 |
수강
-
|
| 7-12 강 | 省心篇 下 : 太公曰 日月이 雖明이나 |
16분 00초 |
수강
-
|
| 8-1 강 | 立敎篇 : 子曰 立身有義하니 |
09분 00초 |
수강
-
|
| 8-2 강 | 立敎篇 : 孔子三計圖云 一生之計는 |
12분 20초 |
수강
-
|
| 8-3 강 | 立敎篇 : 張思叔座右銘曰 |
09분 10초 |
수강
-
|
| 8-4 강 | 立敎篇 : 范益謙座右銘曰 |
08분 20초 |
수강
-
|
| 8-5 강 | 立敎篇 : 又人附書信을 不可開坼沈滯요(이하 立敎篇 강의 생략) |
06분 20초 |
수강
-
|
| 9-1 강 | 治政篇 : 明道先生曰 |
13분 20초 |
수강
-
|
| 9-2 강 | 治政篇 : 童蒙訓曰 當官之法이 |
13분 00초 |
수강
-
|
| 9-3 강 | 治政篇 : 或問 簿는 佐令者也니 |
17분 30초 |
수강
-
|
| 9-4 강 | 治家篇 : 司馬溫公曰 凡諸卑幼 |
04분 30초 |
수강
-
|
| 9-5 강 | 治家篇 : 子孝雙親樂이요 |
05분 00초 |
수강
-
|
| 9-6 강 | 安義篇 : 顔氏家訓曰 夫有人民而後에 |
10분 50초 |
수강
-
|
| 10-1 강 | 遵禮篇 : 子曰 居家有禮故로 |
07분 00초 |
수강
-
|
| 10-2 강 | 遵禮篇 : 曾子曰 朝廷엔 莫如爵이요 |
08분 20초 |
수강
-
|
| 10-3 강 | 言語篇 : 劉會曰 言不中理면 |
08분 20초 |
수강
-
|
| 10-4 강 | 言語篇 : 口是傷人斧요 言是割舌刀니 |
08분 50초 |
수강
-
|
| 10-5 강 | 交友篇 : 子曰 與善人居면 |
17분 10초 |
수강
-
|
| 10-6 강 | 交友篇 : 子曰 晏平仲은 善與人交로다 |
08분 20초 |
수강
-
|
| 11-1 강 | 八反歌 01 |
11분 20초 |
수강
-
|
| 11-2 강 | 八反歌 02 |
10분 20초 |
수강
-
|
| 11-3 강 | 八反歌 03 |
12분 50초 |
수강
-
|
| 11-4 강 | 八反歌 04 |
10분 10초 |
수강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