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움말
동영상강좌
음성강좌
기타형식
MST -> VOD 변환강좌
신규강좌
모바일지원
고화질강좌
영상내자막통감절요는 중국 송(宋)의 사마광(司馬光)(1019~1086)이 쓴 자치통감(資治通鑑)을 재야학자인 소미(少微) 강지(江贄)가 엮은 책으로, 그 문장이 평이하면서도 단단하여 예로부터 문리와 문장력을 얻는 교재로 이용되어 왔습니다.
대개 역사서의 기술방식은 기전체(紀傳體), 편년체(編年體), 기사본말체(紀事本末體)로 구분 됩니다. 이중 편년체 역사서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기술되기 때문에 역사의 내용을 순차적으로 볼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 사건의 발생 요인과 경과 그리고 그 뒷이야기들을 한눈에 조망(眺望)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습니다.
선생님의 강의는 통감을 읽는 이들이 편년체 사서의 난점에서 쉽게 벗어날 수 있도록, 각각의 사건마다 그 전후를 되짚고 낱낱의 사건을 서로서로 연결시켜 진행 합니다.
특히 초학자들이 어려워할 문장(文章)이나 한자(漢字)에 대한 명쾌한 해설은 선생님 강의의 큰 특징인데, 이는 선생님께서 초학 시절 직접 느꼈던 경험을 바탕으로 강의 하시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자상한 강의는 여러분이 한문문장을 바라보는 시각을 제시해주실 것이며, 그 결과로 독해력 향상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 됩니다.
김병애 선생님의 통감절요 강의는 본회 오프라인 교육기구인 고전연수원을 통해서 2005년 7월부터 12월까지 약 6개월간 진행되었던 오프라인의 강의를 녹화하여 등재하였습니다. 회원여러분 이번 기회에 열심히 또 열심히 성독하여 문리를 터득하기를 기대합니다. 감사합니다.

<蘇軾散文의 文藝美 硏究>
<律呂新書의 번역·교감·주석 고찰>
《하빈신후담 주역상사신편 역주》
<折中義例에 보이는 신후담 역학요소의 개념 분석과 성호문인의 周易折中 논변>
<화서 이항로의 斥邪衛正思想에 대한 이론적 근거와 실천> 등
역서《마음속의 대나무 - 蘇軾散文評說》
공역 ≪한국주역대전≫ ≪承政院日記≫ ≪은대조례≫ 등
| 1-1 강 | 威烈王 (名午 考王子) 在位二十四年 |
34분 25초 |
수강
-
|
| 1-2 강 | 文王序易 以乾坤爲首 孔子繫之曰 |
33분 56초 |
수강
-
|
| 1-3 강 | 嗚呼 幽厲失德 周道日衰 |
25분 47초 |
수강
-
|
| 1-4 강 | 至於季氏之於魯 田常之於齊 白公之於楚 智伯之於晉 |
32분 00초 |
수강
-
|
| 2-1 강 | 初 趙簡子使尹鐸爲晉陽 |
34분 12초 |
수강
-
|
| 2-2 강 | 三家以國人 圍而灌之 |
16분 08초 |
수강
-
|
| 2-3 강 | 溫公曰 智伯之亡也 |
26분 09초 |
수강
-
|
| 2-4 강 | 趙襄子漆智伯之頭 以爲飮器 |
25분 37초 |
수강
-
|
| 2-5 강 | 魏斯者 桓子之孫也 |
26분 06초 |
수강
-
|
| 3-1 강 | 子擊出 遭田子方於道 |
12분 12초 |
수강
-
|
| 3-2 강 | 文侯謂李克曰 先生嘗有言曰 |
29분 38초 |
수강
-
|
| 3-3 강 | 吳起者衛人 仕於魯 齊人伐魯 |
33분 43초 |
수강
-
|
| 3-4 강 | 起之爲將 與士卒最下者 |
25분 49초 |
수강
-
|
| 3-5 강 | [甲午] 十五年 魏文侯薨 |
12분 21초 |
수강
-
|
| 3-6 강 | ○ 魏置相 相田文 吳起不悅 謂田文曰 |
32분 43초 |
수강
-
|
| 4-1 강 | [乙未] 十六年 初命齊大夫田和爲諸侯 |
29분 14초 |
수강
-
|
| 4-2 강 | ○ 衛侯言計非是 而群臣和者 |
27분 39초 |
수강
-
|
| 4-3 강 | [辛亥] 六年 齊威王來朝 是時 周室微弱 |
21분 27초 |
수강
-
|
| 4-4 강 | [壬子] 七年 王崩 弟顯王扁立 |
25분 49초 |
수강
-
|
| 4-5 강 | [壬戌] 十年 衛鞅欲變法 |
27분 17초 |
수강
-
|
| 4-6 강 | 令旣具未布 恐民之不信 |
11분 15초 |
수강
-
|
| 5-1 강 | 溫公曰 夫信者 人君之大寶也 |
17분 42초 |
수강
-
|
| 5-2 강 | 【丙寅】十四年 齊威王, 魏惠王 會田於郊 |
17분 48초 |
수강
-
|
| 5-3 강 | 【庚午】十八年 韓昭侯以申不害爲相 |
19분 14초 |
수강
-
|
| 5-4 강 | 【辛未】十九年 秦商鞅 築冀闕 宮庭於咸陽 |
18분 13초 |
수강
-
|
| 5-5 강 | 【庚辰】二十八年 魏龐涓 伐韓 韓請救於齊 |
37분 46초 |
수강
-
|
| 6-1 강 | 【辛巳】二十九年 秦封衛鞅 商於十五邑 號曰 商君 |
16분 09초 |
수강
-
|
| 6-2 강 | ○ 趙良見商君 商君問曰 |
29분 42초 |
수강
-
|
| 6-3 강 | 【乙酉】三十三年 鄒人孟軻 見魏惠王 |
26분 10초 |
수강
-
|
| 6-4 강 | 【戊子】三十六年 初 洛陽人蘇秦 說秦王以兼天下之術 |
23분 47초 |
수강
-
|
| 6-5 강 | 於是 蘇秦 說韓王曰 韓 地方九百餘里 帶甲 數十萬 |
08분 13초 |
수강
-
|
| 6-6 강 | 蘇秦說齊王曰 齊 四塞之國 |
20분 43초 |
수강
-
|
| 7-1 강 | 【己丑】三十七年 秦惠王 |
21분 43초 |
수강
-
|
| 7-2 강 | 【己亥】四十七年 秦張儀免相 |
18분 52초 |
수강
-
|
| 7-3 강 | 溫公曰 君子之養士 以爲民也 |
12분 44초 |
수강
-
|
| 7-4 강 | 愼靚王名定顯王子在位七年 |
33분 45초 |
수강
-
|
| 7-5 강 | 張儀說魏襄王曰 |
19분 19초 |
수강
-
|
| 7-6 강 | 【己酉】三年燕人共立太子平是爲昭王 |
18분 27초 |
수강
-
|
| 8-1 강 | 【庚戌】四年張儀說楚王曰 |
19분 13초 |
수강
-
|
| 8-2 강 | 張儀去西說趙王曰 |
33분 44초 |
수강
-
|
| 8-3 강 | 【壬戌】十六年秦王約楚王 |
16분 52초 |
수강
-
|
| 8-4 강 | ○ 趙王封其弟勝爲平原君 |
23분 08초 |
수강
-
|
| 8-5 강 | 燕王封樂毅爲昌國君 |
16분 04초 |
수강
-
|
| 8-6 강 | ○ 燕師乘勝長驅齊城皆望風奔潰 |
18분 38초 |
수강
-
|
| 9-1 강 | ○ 趙王得楚和氏璧 |
17분 29초 |
수강
-
|
| 9-2 강 | 【壬午】三十六年秦王會趙王於河外澠池 |
22분 55초 |
수강
-
|
| 9-3 강 | ○ 是時齊地皆屬燕獨莒卽墨未下 |
21분 54초 |
수강
-
|
| 9-4 강 | 田單乃身操版鍤 |
20분 56초 |
수강
-
|
| 9-5 강 | 【辛卯】四十五年魏人范雎亡入秦 |
17분 10초 |
수강
-
|
| 9-6 강 | 【辛丑】五十五年秦左庶長王齕伐韓 |
18분 10초 |
수강
-
|
| 10-1 강 | ○ 初趙括自少時學兵法 |
25분 41초 |
수강
-
|
| 10-2 강 | 【壬寅】五十六年秦之始伐趙也 |
18분 27초 |
수강
-
|
| 10-3 강 | 【癸卯】五十七年秦以王陵攻邯鄲 |
22분 02초 |
수강
-
|
| 10-4 강 | 平原君至楚 |
29분 13초 |
수강
-
|
| 10-5 강 | 赧王下【甲辰】五十八年 |
14분 39초 |
수강
-
|
| 11-1 강 | ○ 初魏公子無忌愛人下 |
21분 39초 |
수강
-
|
| 11-2 강 | 公子再拜問計 |
18분 58초 |
수강
-
|
| 11-3 강 | 公子下令曰 |
11분 26초 |
수강
-
|
| 11-4 강 | ○ 秦太子之子異人自趙逃歸秦 |
24분 05초 |
수강
-
|
| 11-5 강 | 不韋因使其姉說曰 |
25분 13초 |
수강
-
|
| 11-6 강 | 【乙巳】五十九年秦伐韓取陽城負黍斬首四萬 |
21분 31초 |
수강
-
|
| 12-1 강 | 【丙午】元年周民東亡 |
15분 19초 |
수강
-
|
| 12-2 강 | ○ 燕將攻齊聊城拔之 |
17분 51초 |
수강
-
|
| 12-3 강 | 【壬子】七年 |
12분 33초 |
수강
-
|
| 12-4 강 | 【甲寅】蒙驁帥師伐魏 |
29분 58초 |
수강
-
|
| 12-5 강 | ○ 是時天下冠帶之國七 |
16분 45초 |
수강
-
|
| 12-6 강 | 【甲子】 宗室大臣諫曰 |
27분 27초 |
수강
-
|
| 13-1 강 | 【戊辰】 韓王納地請爲藩臣 |
22분 36초 |
수강
-
|
| 13-2 강 | 【辛未】 內史勝滅韓虜 |
24분 52초 |
수강
-
|
| 13-3 강 | 【甲戌】 荊軻至咸陽 |
16분 21초 |
수강
-
|
| 13-4 강 | ○ 王問於將軍李信曰 |
31분 32초 |
수강
-
|
| 13-5 강 | ○ 初齊事秦謹與諸侯 |
07분 20초 |
수강
-
|
| 13-6 강 | 後秦紀 始皇帝下 |
15분 06초 |
수강
-
|
| 14-1 강 | 王初幷天下自以爲 |
31분 47초 |
수강
-
|
| 14-2 강 | ○ 丞相綰等言燕齊荊地遠 |
24분 00초 |
수강
-
|
| 14-3 강 | 【壬午】二十八年始皇 |
14분 10초 |
수강
-
|
| 14-4 강 | 【丙戌】三十二年始皇 |
22분 09초 |
수강
-
|
| 14-5 강 | 【己丑】三十五年使蒙恬 |
22분 54초 |
수강
-
|
| 15-1 강 | ○ 侯生盧生相與譏 |
16분 33초 |
수강
-
|
| 15-2 강 | 二世皇帝在位三年 |
23분 36초 |
수강
-
|
| 15-3 강 | ○ 謁者使從東方來 |
05분 58초 |
수강
-
|
| 15-4 강 | ○ 劉邦字季爲人隆準龍顔 |
16분 56초 |
수강
-
|
| 15-5 강 | ○ 劉季被酒夜徑澤中 |
13분 15초 |
수강
-
|
| 16-1 강 | ○ 項梁者楚將項燕子也 |
28분 01초 |
수강
-
|
| 16-2 강 | ○ 二世益遣司馬欣 |
27분 20초 |
수강
-
|
| 16-3 강 | ○ 張良說項梁曰 |
14분 08초 |
수강
-
|
| 16-4 강 | 高聞李斯以爲言乃曰 |
16분 53초 |
수강
-
|
| 16-5 강 | ○ 章邯已破項梁 |
21분 52초 |
수강
-
|
| 16-6 강 | ○ 沛公引兵西過高陽 |
25분 40초 |
수강
-
|
| 17-1 강 | ○ 夏四月沛公南攻潁川屠之 |
17분 23초 |
수강
-
|
| 17-2 강 | ○ 高前數言關東盜無能爲也 |
12분 32초 |
수강
-
|
| 17-3 강 | ○ 子嬰遣將將兵距嶢關 |
13분 06초 |
수강
-
|
| 17-4 강 | 太祖高皇帝上在位十二年 |
14분 17초 |
수강
-
|
| 17-5 강 | ○ 沛公見秦宮室帷帳 |
18분 55초 |
수강
-
|
| 17-6 강 | ○ 項羽旣定河北 |
17분 14초 |
수강
-
|
| 18-1 강 | 范增說羽曰沛公居山東時 |
16분 01초 |
수강
-
|
| 18-2 강 | 沛公旦日從百餘騎 |
14분 01초 |
수강
-
|
| 18-3 강 | 於是張良至軍門見樊噲 |
18분 02초 |
수강
-
|
| 18-4 강 | ○ 韓生說項羽曰 |
22분 50초 |
수강
-
|
| 18-5 강 | ○ 漢王怒欲攻項羽 |
08분 03초 |
수강
-
|
| 18-6 강 | ○ 初淮陰人韓信 |
16분 27초 |
수강
-
|
| 18-7 강 | 居一二日 何來謁王 |
10분 45초 |
수강
-
|
| 18-8 강 | 信拜禮畢上坐 |
22분 09초 |
수강
-
|
| 19-1 강 | ○ 八月引兵從故道出 |
18분 16초 |
수강
-
|
| 19-2 강 | 【丙申】冬十月 項王密使九江王布等 |
17분 48초 |
수강
-
|
| 19-3 강 | ○ 漢王 南渡平陰津 |
21분 10초 |
수강
-
|
| 19-4 강 | 圍漢王三匝 會大風 |
17분 19초 |
수강
-
|
| 19-5 강 | ○ 五月漢王 至滎陽 |
22분 08초 |
수강
-
|
| 19-6 강 | ○ 八月漢王如滎陽 |
11분 52초 |
수강
-
|
| 19-7 강 | 【丁酉】冬十月 韓信, 張耳 以兵數萬 |
25분 49초 |
수강
-
|
| 20-1 강 | ○ 諸將問信曰 兵法 |
20분 09초 |
수강
-
|
| 20-2 강 | 廣武君曰 智者千慮 必有一失 |
11분 22초 |
수강
-
|
| 20-3 강 | ○ 楚數侵奪漢甬道 漢軍乏食 |
15분 57초 |
수강
-
|
| 20-4 강 | ○ 漢王謂陳平曰 天下紛紛 |
25분 31초 |
수강
-
|
| 20-5 강 | ○ 將軍紀信 言於漢王曰 |
17분 54초 |
수강
-
|
| 20-6 강 | ○ 諸將稍稍得出成皐 |
12분 53초 |
수강
-
|
| 20-7 강 | ○ 食其又說王曰 |
19분 26초 |
수강
-
|
| 21-1 강 | ○ 楚大司馬咎 守成臯 |
29분 48초 |
수강
-
|
| 21-2 강 | ○ 韓信已定臨淄 遂東追齊王 |
19분 57초 |
수강
-
|
| 21-3 강 | ○ 項王聞龍且死 大懼 |
10분 29초 |
수강
-
|
| 21-4 강 | 武涉已去 蒯徹以相人之術 |
18분 38초 |
수강
-
|
| 21-5 강 | ○ 秋立黥布 爲淮南王 |
09분 23초 |
수강
-
|
| 21-6 강 | 【己亥】五年 冬十月 漢王 |
21분 15초 |
수강
-
|
| 21-7 강 | 項王乃復引兵至東城 |
27분 06초 |
수강
-
|
| 22-1 강 | ○ 漢王還至定陶 |
16분 15초 |
수강
-
|
| 22-2 강 | ○ 夏五月 帝置酒洛陽南宮 |
15분 41초 |
수강
-
|
| 22-3 강 | ○ 項羽已滅 田橫懼誅 |
17분 18초 |
수강
-
|
| 22-4 강 | ○ 季布爲項籍將 |
16분 17초 |
수강
-
|
| 22-5 강 | ○ 布母弟丁公 亦爲項羽將 |
20분 12초 |
수강
-
|
| 22-6 강 | ○ 齊人婁敬 戍隴西 |
29분 02초 |
수강
-
|
| 22-7 강 | 張良素多病 從上入關 |
16분 08초 |
수강
-
|
| 23-1 강 | 溫公曰 夫生之有死 |
15분 36초 |
수강
-
|
| 23-2 강 | 【庚子】六年 楚王信初之國 |
23분 35초 |
수강
-
|
| 23-3 강 | ○ 上還至洛陽 赦韓信 |
15분 59초 |
수강
-
|
| 23-4 강 | ○ 張良爲謀臣 亦無戰鬪功 |
11분 43초 |
수강
-
|
| 23-5 강 | ○ 上已封大功臣二十餘人 |
18분 51초 |
수강
-
|
| 23-6 강 | 列侯畢已受封 詔定元功十八人位次 |
21분 26초 |
수강
-
|
| 23-7 강 | ○ 帝悉去秦苛儀法 |
16분 34초 |
수강
-
|
| 24-1 강 | 【辛丑】七年 冬十月 |
18분 00초 |
수강
-
|
| 24-2 강 | 上自將擊韓王信 |
21분 10초 |
수강
-
|
| 24-3 강 | ○ 上至長安 蕭何治未央宮 |
13분 53초 |
수강
-
|
| 24-4 강 | 【壬寅】八年 匈奴冒頓 |
17분 02초 |
수강
-
|
| 24-5 강 | 【甲辰】十年 戚姬有寵於上 |
24분 10초 |
수강
-
|
| 24-6 강 | 【乙巳】十一年 豨軍遂敗 |
15분 13초 |
수강
-
|
| 24-7 강 | 溫公曰 世或以韓信爲首建大策 |
23분 00초 |
수강
-
|
| 25-1 강 | ○ 初 上之擊陳豨也 |
13분 39초 |
수강
-
|
| 25-2 강 | 梟越首洛陽 下詔有收視者 |
15분 39초 |
수강
-
|
| 25-3 강 | ○ 漢書本紀曰 |
12분 18초 |
수강
-
|
| 25-4 강 | ○ 初淮陰侯死 淮南王黥布 |
20분 06초 |
수강
-
|
| 25-5 강 | 【丙午】十二年 冬十月 |
09분 39초 |
수강
-
|
| 25-6 강 | ○ 立兄子濞 爲吳王 |
14분 29초 |
수강
-
|
| 25-7 강 | ○ 張良傳云 呂后使建成侯呂澤 |
21분 17초 |
수강
-
|
| 25-8 강 | ○ 上擊布時 爲流矢所中 |
14분 46초 |
수강
-
|
| 25-9 강 | ○ 통감절요 권5까지의 강의가 등재되었습니다. |
00분 00초 |
수강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