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모
털 모 성씨(姓氏)
-
2
수
드디어 수 인명(人名)
-
3
자
스스로 자 스스로, 저절로
-
4
천
천거할 천 천거하다
-
1
진
나라 이름 진 국명(國名), 진(秦)나라
-
이
-
2
왕
임금 왕 인명(人名)
-
3
릉
언덕 릉 인명(人名)
으로
-
7
공
-
한
조나라 서울 한 지명(地名)
-
6
단
조나라 지명 단 지명(地名)
한데
。
-
무
호반 무 시호(諡號), 무왕
-
2
안
편안 안 시호(諡號)
-
3
군
벼슬 이름 군 벼슬 이름
-
4
왈
。
-
한
-
2
단
-
3
실
하니
。
-
미
-
1
이
쉬울 이 쉽다
-
2
공
칠 공 공격하다
-
4
야
요
。
-
1
차
-
2
제
-
3
후
제후 후 제후, 군주, 임금
-
4
지
-
5
구
-
6
일
-
7
지
하리니
。
-
3
파
-
진
-
2
군
-
4
필
-
5
의
라하고
。
-
사
사양할 사 사양하다
-
1
질
병 질 병
-
불
-
3
행
하니
。
-
1
내
-
이
-
왕
임금 왕 인명(人名)
-
3
흘
깨물 흘 인명(人名)
로
-
7
대
-
5
왕
-
6
릉
하다
。
-
1
조
-
2
왕
이
-
사
-
평
-
4
원
-
5
군
으로
-
10
구
-
9
구
-
어
-
초
회초리 초 국명(國名), 초나라
라
。
-
평
-
2
원
-
3
군
이
-
4
약
하되
。
-
1
기
-
2
문
-
3
하
-
4
식
-
5
객
-
문
-
7
무
-
8
비
-
9
구
-
10
자
-
11
이
-
12
십
-
13
인
으로
-
여
-
14
지
-
16
구
한대
。
-
4
득
-
십
-
2
구
-
3
인
하고
。
-
1
여
-
무
-
가
-
2
취
-
4
자
라
|
|
-
모수가
毛遂
-
스스로
自
-
천거하다 :
薦
-
진나라는
秦
-
왕릉
王陵
-
을
以
-
〈장수로 삼아서〉
<補充>
-
한단을
邯鄲
-
공격하려 하였다.
攻
-
무안군[소진(蘇秦)]이
武安君
-
말하길,
曰
-
“한단은
邯鄲
-
〈대비가〉
<補充>
-
충실하니,
實
-
쉽게
易
-
공격할
攻
-
수 없
未
-
고,
也
-
또
且
-
제후
諸侯
-
의
之
-
구원이
救
-
날마다
日
-
이를 것이니,
至
-
〈우리〉
<補充>
-
진나라
秦
-
군대를
軍
-
격파할 것이
破
-
분명합
必
-
니다.”
矣
-
라고 하며,
<補充>
-
병을
疾
-
핑계 삼아
辭
-
가지
行
-
않았다.
不
-
결국
乃
-
왕흘
王齕
-
로
以
-
왕릉을
王陵
-
대체하였다.
代
-
조나라
趙
-
왕은
王
-
평원군
平原君
-
에게
使
-
초나라
楚
-
에
於
-
구원을
救
-
청하
求
-
게 하였다.
(使)
-
평원군이
平原君
-
약속하길,
約
-
‘자기
其
-
문하의
門下
-
식객으로
食客
-
문무를
文武
-
겸비한
備具
-
자
者
-
이십
二十
-
인
人
-
(생략)
之
-
과
與
-
함께 가기로 한 것’이었는데,
俱
-
열
十
-
아홉
九
-
사람을
人
-
뽑았으나
得
-
나머지
餘
-
뽑을
取
-
만한
可
-
자가
者
-
없었다.
無
|
한자수준 :
毛遂自薦秦以王陵攻邯鄲武安君曰邯鄲實未易攻也且諸侯之救日至破秦軍必矣辭疾不行乃以王齕代王陵趙王使平原君求救於楚平原君約其門下食客文武備具者二十人與之俱得十九人餘無可取者
중학900고교9001800초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