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딩중
위치 : > 原文故事成語 > 處世 > 10 與世推移 > 4節      20/204


축자익히기    보기(단축키) :                  
※ 《원문고사성어(原文故事成語)》 검색 및 비교의 목적으로 원문(原文)만 제공됩니다. 우선 기초한문·사서 등 기본서부터 시작하여 각종 학습정보가 구축되고 있습니다.
원문 및 의역(Original Text & Liberal Translation)

原曰 吾聞之하니 新沐者必彈冠이요 新浴者必振衣 誰能以身之察察 受物之汶汶者乎 寧赴湘流하여 而葬乎江魚腹中耳이언정 又安能以皓皓之白으로 而蒙世之塵埃乎아하고 乃作懷沙之賦하고 懷石하여 自投汨羅以死 後百餘年 賈生爲長沙王太傅하여 過湘水라가 投書以弔之

굴원이 말하길,

“제가 그에 관해서 들어보니, ‘새로 머리 감은 사람은 반드시 갓을 털어서 쓰고, 새로 목욕한 사람은 반드시 옷을 털어서 입는다.’고 합니다. 누가 자신의 깨끗함으로 사물의 더러운 것을 받아들일 수 있겠습니까? 차라리 상강에 가서 물고기의 뱃속에 장사 지낼지언정, 또 어찌 깨끗한 흰 것으로 세상의 티끌을 뒤집어쓸 수 있겠습니까?”

하고는, 마침내 〈회사지부〉를 짓고, 돌을 품고서 멱라수에 스스로 투신하여 죽었다. 백여 년 뒤에, 가의(賈誼)가 장사왕의 태부가 되어 상수를 지나다가, 글을 던져서 그를 위로하였다.  《≪몽구蒙求≫》

축자직해 정보(Verbal Translation & etc.)
  • *
    1
     근원 원 
     인명(人名) 
  • 2
      
  •  
  • 1
      
  • 3
      
  • 2
      
  •  

    하니 
  •  
  • 1
      
  • 2
     머리 감을 목 
     머리 감다 
  • 3
      
  • 4
      
  • 6
     탈 탄 
     털다 
  • 5
     갓 관 
      
  •  

    이요 
  •  
  • 1
      
  • 2
     목욕할 욕 
     목욕하다 
  • 3
      
  • 4
      
  • 6
     떨칠 진 
     털다 
  • 5
      
  •  

    라 
  •  
  • 1
    1
      
  • 13
      
  • 2
    6
      
  • 2
      
  • 3
      
  • *
    4
     고결할 찰 
     고결하다 
  • 5
     고결할 찰 
     고결하다 
  •  

    로 
  • 12
      
  • 7
      
  • 8
      
  • *
    9
     더러울 문 
     더럽다 
  • 10
     더러울 문 
     더럽다 
  • 11
      
  • 1
    14
      
  •  

    아 
  •  
  • 1
     차라리 녕 
     차라리 ~할지언정 
  • 4
      
  • *
    2
      
  • 3
      
  •  

    하여 
  •  
  • 1
      
  • 7
      
  • 3
    6
      
  • 2
      
  • 3
      
  • 4
      
  • 5
      
  • 4
    8
     뿐 이 
     ~뿐, ~뿐이다 
  •  

    이언정 
  •  
  • 1
      
  • 5
    2
     어찌 안 
     어찌 ~인가? 
  • 14
      
  • 7
      
  • *
    3
     흴 호 
     희다 
  • 4
     흴 호 
     희다 
  • 5
      
  • 6
      
  •  

    으로 
  • 8
      
  • 13
     덮을 몽 
     뒤집어쓰다 
  • 9
      
  • 10
      
  • 11
     티끌 진 
     티끌, 먼지 
  • 12
     티끌 애 
     티끌 
  • 5
    15
      
  •  

    아하고 
  •  
  • 1
      
  • 6
      
  • *
    2
     품을 회 
     지명(地名) 
  • 3
     모래 사 
     지명(地名) 
  • 4
      
  • 5
     시쓸 부 
     문체 이름 
  •  

    하고 
  •  
  • 2
     품을 회 
     품다 
  • 1
      
  •  

    하여 
  •  
  • 3
      
  • 4
      
  • *
    1
     물 이름 멱 
     지명(地名) 
  • 2
     비단 라 
     지명(地名) 
  • 6
    5
      
  • 6
      
  •  

    라 
  •  
  • 4
      
  • 1
      
  • 2
      
  • 3
      
  •  

    에 
  •  
  • *
    1
     값 가 
     성씨(姓氏) 
  • 2
     날 생 
     인명(人名) 
  • 8
      
  • *
    3
      
  • 4
      
  • 5
      
  • 6
     클 태 
     관직명(官職名) 
  • 7
     스승 부 
     관직명(官職名) 
  •  

    하여 
  •  
  • 3
      
  • 1
     물 이름 상 
     상강(湘江) 
  • 2
     물 수 
      
  •  

    라가 
  •  
  • *
    2
      
  • 1
      
  • 6
    3
      
  • 5
     위로할 조 
     위로하다 
  • 4
      
  •  

    라 
1 誰A乎누가 A하는가? ; 누구를 A하는가?  2 以ABA로써(로서) B하다 ; A를 B하다  3 A乎BB에게/에서/와/를 A하다  4 A耳A일 뿐이다  5 安A乎어찌 A인가? ; 어찌 A하는가? ; 무엇을 A하는가?  6 A以BA해서 B하다 
*賈誼(가의)   *(원)   *察察(찰찰)   *汶汶(문문)   *湘流(상류)   *皓皓(호호)   *懷沙之賦(회사지부)   *汨羅(멱라)   *賈生(가생)   *長沙王太傅(장사왕태부)   *投書(투서)  
  • 굴원이 
  • 말하길, 
  • “제가 
  • 그에 관해서 
  • 들어보니, 
  • ‘새로 
  • 머리 감은 
  • 사람은 
  • 반드시 
  • 갓을 
  • 털어서 
  • 쓰고, 
    <補充>
  • 새로 
  • 목욕한 
  • 사람은 
  • 반드시 
  • 옷을 
  • 털어서 
  • 입는다.’고 합니다. 
    <補充>
  • 누가 
  • 자신
  • 의 
  • 깨끗함
    察察
  • 으로 
  • 사물
  • 의 
  • 더러운 
    汶汶
  • 것을 
  • 받아들일 
  • 수 있
  • 겠습니까? 
  • 차라리 
  • 상강에 
    湘流
  • 서 
  • 물고기의 
    江魚
  • 에 
  • 장사 지낼지
  • 언정, 
  • 또 
  • 어찌 
  • 깨끗
    皓皓
  • 한 
  • 흰 것
  • 으로 
    以~而
  • 세상
  • 의 
  • 티끌을 
    塵埃
  • 뒤집어쓸 
  • 수 있
  • 겠습니까?” 
  • 하고는, 
    <補充>
  • 마침내 
  • 〈회사지부〉를 
    懷沙之賦
  • 짓고, 
  • 돌을 
  • 품고서 
  • 멱라수에 
    汨羅
  • 스스로 
  • 투신하
  • 여 
  • 죽었다. 
  • 여 
  • 년 
  • 뒤에, 
  • 가의(賈誼)가 
    賈生
  • 장사왕의 
    長沙王
  • 태부가 
    太傅
  • 되어 
  • 상수를 
    湘水
  • 지나다가, 
  • 글을 
  • 던져
  • 서 
  • 그를 
  • 위로하였다. 
한자수준 : 중학900고교9001800초과
최종수정 : 2025년 9월 4일 오후 7:48:21

Copyright @ (사)전통문화연구회, 동양고전정보화연구소 고전교육연구실


  • 학습도구 ◁▷
  • 기본학습도구
  • 토론(討論)
  • 듣기/읽기(音源)(S)
  • 쓰기연습(W)
  • 동영상(動映像)(V)
  • 자의(字義)
  • 패턴(熟語)
  • 어휘(詞典)
  • 심화학습도구
    (중급이상)
  • 언해(諺解)(T)
  • 영역(英譯)(E)
  • 원주(原注)(O)
  • 주소(注疏)
  • 원전(原典)(I)
  • 보조학습도구
  • 책갈피(附箋)
  • 왕조도(王朝圖)
  • 동양연표(東洋年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