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어
-
2
부
-
3
왈
。
-
1
부
-
성
-
3
인
은
-
8
부
-
응
엉길 응 엉기다
-
7
체
막힐 체 막히다
-
어
-
4
물
하고
。
-
1
이
-
6
능
-
여
-
2
세
-
4
추
-
5
이
라
。
-
1
거
-
2
세
-
3
혼
흐릴 혼 흐리다
-
4
탁
흐릴 탁 흐리다
이면
。
-
하
-
9
불
-
4
수
따를 수 따르다
-
2
기
-
3
류
-
5
이
-
8
양
날닐 양 일으키다, 만들다
-
6
기
-
7
파
하며
。
-
1
중
-
2
인
-
3
개
-
4
취
취할 취 취하다
면
。
-
하
-
9
불
-
4
포
먹을 포 먹다
-
2
기
-
3
조
술지게미 조 술지게미
-
5
이
-
8
철
마실 철 마시다
-
6
기
-
7
리
삼삼한 술 리 삼삼한 술
오
。
-
하
-
2
고
-
회
품을 회 품다
-
3
근
아름다운 옥 근 아름다운 옥
-
6
악
쥘 악 쥐다, 잡다
-
5
유
아름두운 옥 유 아름다운 옥
하여
-
7
이
-
8
자
-
령
하여금 령 ~하게 하다
-
11
견
입을 견 [피동]당하다, 받다, 되다
-
9
방
-
위
오하다
|
|
-
어부가
漁父
-
말하길,
曰
-
“무릇
夫
-
성인은
聖人
-
사물
物
-
에
於
-
구애되지
凝滯
-
않
不
-
고,
而
-
세상과
世
-
더불어
與
-
옮겨갈
推移
-
수 있습니다.
能
-
온
擧
-
세상이
世
-
흐린데,
混濁
-
어찌
何
-
그
其
-
흐름을
流
-
따라
隨
-
서
而
-
그
其
-
물결을
波
-
일으키지
揚
-
않으며,
不
-
뭇사람들이
衆人
-
다
皆
-
취했는데,
醉
-
어찌
何
-
그
其
-
술지게미를
糟
-
먹
餔
-
고
而
-
그
其
-
맛없는 술을
醨
-
마시지
啜
-
않
不
-
습니까?
(何)
-
무슨
何
-
까닭에
故
-
보물을
瑾
-
품고
懷
-
보물을
瑜
-
쥐고
握
-
서
而
-
스스로를
自
-
쫓
放
-
기게 하
令見
-
였습니까?”
爲
|
한자수준 :
漁父曰夫聖人不凝滯於物而能與世推移擧世混濁何不隨其流而揚其波衆人皆醉何不餔其糟而啜其醨何故懷瑾握瑜而自令見放爲
중학900고교9001800초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