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맹
맏 맹 성씨(姓氏)
-
2
헌
드릴 헌 시호(諡號)
-
3
자
사람 자 경칭
-
4
왈
말할 왈 말하다, 일컫다
。
-
3
휵
기를 휵 기르다
-
마
말 마 말
-
2
승
수레 단위 승 수레 단위
은
-
8
불
아니 불 ~않다
-
7
찰
살필 찰 살피다
-
6
어
어조사 어 ~을/를
-
4
계
닭 계 닭
-
5
돈
돼지 돈 돼지
하고
。
-
벌
칠 벌 치다
-
2
빙
얼음 빙 얼음
-
3
지
어조사 지 ~의/하는
-
4
가
집 가 집안, 가문, 가족
는
-
8
불
아니 불 ~않다
-
7
휵
기를 휵 기르다
-
5
우
소 우 소
-
6
양
양 양 양
하고
。
-
백
일백 백 100
-
2
승
수레 단위 승 수레 단위
-
3
지
어조사 지 ~의/하는
-
4
가
집 가 집안, 가문, 가족
는
-
10
불
아니 불 ~않다
-
9
휵
기를 휵 기르다
-
5
취
모을 취 모으다
-
6
렴
거둘 렴 거두다
-
7
지
어조사 지 ~의/하는
-
8
신
신하 신 신하, 가신
하나니
。
-
여
어조사 여 [비교]~보다
-
1
기
그 기 [대명사] 그, 그사람, 그것
-
6
유
있을 유 두다, 갖추다
-
2
취
모을 취 모으다
-
3
렴
거둘 렴 거두다
-
4
지
어조사 지 ~의/하는
-
5
신
신하 신 신하, 가신
으론
。
-
녕
차라리 녕 차라리 ~하겠다
-
4
유
있을 유 두다, 갖추다
-
2
도
도둑 도 도둑질하다
-
3
신
신하 신 신하, 가신
이라하니
。
-
1
차
이 차 이, 이것
-
2
위
이를 위 이르다, 말하다, ~라고 하다
-
3
국
나라 국 나라
은
-
8
불
아니 불 ~않다
-
이
써 이 ~을/를
-
4
리
이로울 리 이(利), 이익, 이로움
-
위
할 위 삼다, 여기다
-
6
리
이로울 리 이롭다
요
-
이
써 이 ~을/를
-
9
의
옳을 의 의(義), 도의, 의리
-
위
할 위 삼다, 여기다
-
11
리
이로울 리 이롭다
-
13
야
어조사 야 ~이다
니라
|
|
-
맹헌자(孟獻子)가
孟獻子
-
말하길,
曰
-
“말 네 필[馬乘]을
馬乘
-
기르는 자(대부)는
畜
-
닭과
鷄
-
돼지
豚
-
를
於
-
돌보지
察
-
않고,
不
-
얼음을 쓰
伐冰
-
는
之
-
집안(경대부 이상)은
家
-
소와
牛
-
양을
羊
-
키우지
畜
-
않고,
不
-
〈식읍을 가진〉
<補充>
-
백승
百乘
-
의
之
-
집안은
家
-
취렴(聚斂)
聚斂
-
하는
之
-
신하를
臣
-
기르지
畜
-
않는다.
不
-
그
其
-
취렴
聚斂
-
하는
之
-
신하를
臣
-
두기
有
-
보다는
與
-
차라리
寧
-
도적질하는
盜
-
신하를
臣
-
두겠다.”
有
-
하니,
<補充>
-
이것을
此
-
일러
謂
-
‘나라는
國
-
이(利)
利
-
를
以
-
이롭게
利
-
여기지
爲
-
않고,
不
-
의(義)
義
-
를
以
-
이롭게
利
-
여긴
爲
-
다.’
也
-
고 하는 것이다.
<補充>
|
한자수준 :
孟獻子曰畜馬乘不察於鷄豚伐冰之家不畜牛羊百乘之家不畜聚斂之臣與其有聚斂之臣寧有盜臣此謂國不以利爲利以義爲利也
중학900고교9001800초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