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딩중
가능/불능 > 가능/허용 可得而 A A할 수 있다
대표 : 可 A
동의 : AB ; A ; A 得以 B ; A ; 可得 A ; A ; A ; A 可以 B ; A 足用 B ; A 足以 B ; A 不可 B ; A 不足以 B ; A ; 莫能 A ; A ; 不可 A ; 不能 A ; 不得 A ; 不足 A ; A 不可以 B ; 未可 ; 不可 A ; A 可也 ; A 可矣 ; A ; A 可以 B ; 可得而 A ; 得而 A ; 難得而 A ; 不得而 A ; A ; 須是 A ;
1 개의 글에 글자가 검색되었습니다.
1 이나 二帝三王之治 本於道하고 二帝三王之道 本於心하니 得其心이면 則道與治言矣 何者 精一執中 堯舜禹相授之心法也 建中建極 商湯周武相傳之心法也 曰德 曰仁 曰敬 曰誠 言雖殊 而理則一이니 無非所以明此心之妙也 <書經, 書經集傳序>  
그러나 이제·삼왕의 정치는 도(道)에 근본하였고, 이제·삼왕의 도는 심(心)에 근본하였으니, 그 마음을 얻는다면 도와 정치를 진실로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어째서인가? 정일과 집중은 요임금·순임금·우임금이 서로 전수한 심법이고, 건중·건극은 상나라 탕왕과 주나라 무왕이 서로 전수한 심법이다. ‘덕(德)·인(仁)·경(敬)·성(誠)’이 글자[言]는 비록 다르나 이치는 하나이니, 모두 이 마음의 묘함을 밝힌 것이다.
Copyright @ (사)전통문화연구회, 동양고전정보화연구소 고전교육연구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