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딩중
所以 > 원인/도구 未有以 A A할 것이 없다 ; A할 수 없다 ; A한 점이 없다
대표 : 所以 A
동의 : 亡以 A ; 無所 A ; 無以 A ; 未有以 A ; 非有以 A ; 所由 A ; 所以 A ; 所以 A ; A 故也 ; A 故也 ; 有以 A ; A ; A 故也 ; A ; A 者也 ; A 之所 B ; A 之所以 B ; A 之所以 B 者也 ; A 者則以 B ; A 之所 B ; A 之所以 B ; A 所以 B ; A 所以 B ; A 所以 B 之法 ; A 所以 B 之術 ; AB ; A 者 所以 B ; A 者 所以 B ; AB 故也 ; AB ; AB 之所 C ; AB 之所以 C ; A 者緣 B 故也 ; AB 也 以 C ; ABC ; A 之所 BC ; A 之所以 B ; A 之所以 B 者 以 C ; A 之所以 B 者 以 C ; A 之所以 BC ; A 者 爲 B ; A 者 以 B ; 所以 AB ; 所以 A 者 爲 B ; 所以 A 者 以 B ; 所以 A 者 以 B ; 所以 AB ; 所以 AB ; A 者 以 B ; A 之所以 BC ;
以는 A한/할 것으로 所以(까닭/원인/도구/방법)의 생략형이다.

未有는 無와 같으므로 未有以는 無以와 같다.
2 개의 글에 글자가 검색되었습니다.
1 莊暴見孟子曰 暴見於王호니 語暴以好樂이어시늘對也호니 曰 好樂 何如하니잇고 孟子曰 王之好樂 甚則齊國 其庶幾乎인저 <四書독해첩경, 孟子>  
장포(莊暴)가 맹자를 만나 말하였다. “제가 왕을 뵈니, 왕이 제게 음악을 좋아하는 것으로 말하였으나, 저(장포〉는 대답할 수 없었습니다. ‘음악을 좋아한다,’고 하는 것이 어떠합니까?” 맹자가 말하였다. “왕이 음악을 좋아하는 것이 심하다면, 제(齊)나라는 아마 거의 〈다스려질 것〉입니다.”
2 莊暴見孟子曰 暴見於王호니 語暴以好樂이어시늘對也호니 曰 好樂 何如하니잇고 孟子曰 王之好樂 甚則齊國 其庶幾乎인저 <孟子, 梁惠王下>  
장포(莊暴)가 맹자를 만나 말하였다. “제가 왕을 뵈니, 왕이 제게 음악을 좋아하는 것으로 말하였으나, 저(장포〉는 대답할 수 없었습니다. ‘음악을 좋아한다,’고 하는 것이 어떠합니까?” 맹자가 말하였다. “왕이 음악을 좋아하는 것이 심하다면, 제(齊)나라는 아마 거의 〈다스려질 것〉입니다.”
Copyright @ (사)전통문화연구회 고전교육연구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