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치 : > 春秋左氏傳 > 哀公      12/13
<哀公 주요어휘>?
※ 대상서가 《孟子》일때는 '孟子'는 제외됨.
(건) : 전체 인물 국가/지명 관직/제도 서명/편명 기물명 개념어 고사/관용구 기타    (업데이트중)
책갈피 구분 哀公 원문 낭송 및 토론
책갈피 편명
♪ ♩ 토론
원년, 丁未(B.C. 494)
책갈피 1章 1節
토론
책갈피 1章 2節
토론
책갈피 1章 3節
토론
책갈피 1章 4節
토론
책갈피 1章 5節
토론
책갈피 1章 6節
토론
책갈피 1章 7節
토론
책갈피 1章 8節
토론
책갈피 1章 9節
토론
책갈피 1章 10節
토론
책갈피 1章 11節
토론
책갈피 1章 12節
토론
책갈피 1章 13節
토론
책갈피 1章 14節
토론
책갈피 1章 15節
토론
책갈피 1章 16節
토론
책갈피 1章 17節
토론
2년, 戊申(B.C. 493)
책갈피 2章 1節
토론
책갈피 2章 2節
토론
책갈피 2章 3節
토론
책갈피 2章 4節
토론
책갈피 2章 5節
토론
책갈피 2章 6節
토론
책갈피 2章 7節
토론
책갈피 2章 8節
토론
책갈피 2章 9節
토론
책갈피 2章 10節
토론
책갈피 2章 11節
甲戌 將戰할새 郵無恤御簡子하고 衛大子爲右하다 登鐵上하야 望見鄭師衆하고 大子懼하야 自投于車下하니 子良授大子綏하야 而乘之曰 婦人也로다 簡子巡列曰 畢萬 匹夫也로대 七戰皆獲하야 有馬百乘하고 死於牖下하니 群子勉之하라 死不在寇니라 繁羽御趙羅하고 宋勇爲右러니 羅無勇이어늘 麇之하다 吏詰之한대 御對曰 痁作而伏이니라 衛大子禱曰 曾孫蒯聵 敢昭告皇祖文王 烈祖康叔 文祖襄公하노이다 鄭勝亂從하니 晉午在難하야 不能治亂하야 使鞅討之하니 蒯聵不敢自佚하야 備持矛焉이라 敢告無絶筋하고 無折骨하며 無面傷하야 以集大事하야 無作三祖羞하소서 大命 不敢請이어니와 佩玉 不敢愛로소이다
토론
책갈피 2章 12節
토론
책갈피 2章 13節
토론
책갈피 2章 14節
토론
책갈피 2章 15節
토론
책갈피 2章 16節
토론
3년, 己酉(B.C. 492)
책갈피 3章 1節
토론
책갈피 3章 2節
토론
책갈피 3章 3節
토론
책갈피 3章 4節
토론
책갈피 3章 5節
夏五月辛卯 司鐸火하니 火踰公宮하야 桓僖災하니 救火者皆曰 顧府하라 南宮敬叔至하야 命周人出御書하야 俟於宮하고 曰 庀女하리니 而不在하리라 子服景伯至하야 命宰人호대 出禮書하야 以待命하라 命不共이면 有常刑하리라 校人乘馬하고 巾車脂轄하며 百官官備하야 府庫愼守하고 官人肅給하라 濟濡帷幕하야 鬱攸從之하라 蒙葺公屋호대 自大廟始하야 外內以悛하고 助所不給하라 有不用命이면 則有常刑하니 無赦하리라 公父文伯至하야 命校人駕乘車하다 季桓子至하야 御公立于象魏之外하야 命救火者호대 傷人則止하라 財可爲也니라 命藏象魏曰 舊章不可亡也니라 富父槐至하야 曰 無備而官辦者 猶拾瀋也니라 於是乎去表之槀하고 道還公宮하다 孔子在陳이러니 聞火하고 曰 其桓僖乎인저
토론
책갈피 3章 6節
토론
책갈피 3章 7節
토론
책갈피 3章 8節
토론
책갈피 3章 9節
토론
책갈피 3章 10節
토론
책갈피 3章 11節
토론
책갈피 3章 12節
토론
책갈피 3章 13節
토론
4년, 庚戌(B.C. 491)
책갈피 4章 1節
토론
책갈피 4章 2節
토론
책갈피 4章 3節
토론
Copyright @ (사)전통문화연구회 고전교육연구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