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치 : > 春秋左氏傳 > 宣公      7/13
<宣公 주요어휘>?
※ 대상서가 《孟子》일때는 '孟子'는 제외됨.
(건) : 전체 인물 국가/지명 관직/제도 서명/편명 기물명 개념어 고사/관용구 기타    (업데이트중)
책갈피 구분 宣公 원문 낭송 및 토론
책갈피 편명
♪ ♩ 토론
원년, 癸丑(B.C. 608)
책갈피 1章 1節
토론
책갈피 1章 2節
토론
책갈피 1章 3節
토론
책갈피 1章 4節
토론
책갈피 1章 5節
토론
책갈피 1章 6節
토론
책갈피 1章 7節
토론
책갈피 1章 8節
토론
책갈피 1章 9節
토론
책갈피 1章 10節
토론
책갈피 1章 11節
토론
책갈피 1章 12節
토론
책갈피 1章 13節
토론
책갈피 1章 14節
토론
책갈피 1章 15節
토론
책갈피 1章 16節
토론
책갈피 1章 17節
토론
2년, 甲寅(B.C. 607)
책갈피 2章 1節
토론
책갈피 2章 2節
二年이라 鄭公子歸生受命于楚하야 伐宋하니 宋華元樂呂御之하다 二月壬子 戰于大棘하야 宋師敗績하니 囚華元하고 獲樂呂及甲車四百六十乘俘二百五十人하고 馘百人하다 狂狡輅鄭人 鄭人入于井이어늘 倒戟而出之러니 獲狂狡하다 君子曰 失禮違命하니 宜其爲禽也로다 昭果毅하야 以聽之之謂禮 殺敵爲果 致果爲毅어늘 易之 戮也니라 將戰 華元殺羊食士하며 其御羊斟不與러니 及戰 曰 疇昔之羊 子爲政이어니와 今日之事 我爲政이라하고 與入鄭師 故敗하다 君子謂羊斟 非人也 以其私憾으로 敗國殄民하니 於是刑孰大焉이리오 詩所謂人之無良者 其羊斟之謂乎인저 殘民以逞이로다
토론
책갈피 2章 3節
토론
책갈피 2章 4節
토론
책갈피 2章 5節
토론
책갈피 2章 6節
토론
책갈피 2章 7節
토론
책갈피 2章 8節
토론
책갈피 2章 9節
토론
책갈피 2章 10節
토론
책갈피 2章 11節
토론
책갈피 2章 12節
토론
책갈피 2章 13節
토론
책갈피 2章 14節
토론
3년, 乙卯(B.C. 606)
책갈피 3章 1節
토론
책갈피 3章 2節
토론
책갈피 3章 3節
토론
책갈피 3章 4節
토론
책갈피 3章 5節
토론
책갈피 3章 6節
토론
책갈피 3章 7節
토론
책갈피 3章 8節
토론
책갈피 3章 9節
토론
책갈피 3章 10節
토론
책갈피 3章 11節
토론
책갈피 3章 12節
文公報鄭子之妃하니 曰陳嬀 生子華子臧이러니 子臧得罪而出하니 誘子華而殺之南里하고 使盜殺子臧於陳宋之間하다 又娶于江하야 生公子士러니 朝于楚 楚人酖之하니 及葉而死하다 又娶于蘇하야 生子瑕子兪彌러니 兪彌早卒하고 洩駕惡瑕하고 文公亦惡之 故不立也하다 公逐群公子하니 公子蘭奔晉하야 從晉文公伐鄭하다 石癸曰 吾聞姬姞耦 其子孫必蕃이라하더니 吉人也 后稷之元妃也 今公子蘭 姞甥也 天或啓之 必將爲君하리니 其後必蕃이라 先納之하면 可以亢寵이라하고 與孔將鉏侯宣多納之하야 盟于大宮而立之하고 以與晉平하다 穆公有疾曰 蘭死 吾其死乎인저 吾所以生也라하다 刈蘭而卒하다
토론
책갈피 3章 13節
토론
4년, 丙辰(B.C. 605)
책갈피 4章 1節
토론
책갈피 4章 2節
토론
책갈피 4章 3節
토론
책갈피 4章 4節
토론
책갈피 4章 5節
토론
Copyright @ (사)전통문화연구회 고전교육연구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