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치 : > 春秋左氏傳 > 昭公      10/13
<昭公 주요어휘>?
※ 대상서가 《孟子》일때는 '孟子'는 제외됨.
(건) : 전체 인물 국가/지명 관직/제도 서명/편명 기물명 개념어 고사/관용구 기타    (업데이트중)
바로가기 : 원년, 庚申(B.C. 541) | 2년, 辛酉(B.C.  540) | 3년, 壬戌(B.C.  539) | 4년, 癸亥(B.C.  538) | 5년, 甲子(B.C.  537) | 6년, 乙丑(B.C.  536) | 7년, 丙寅(B.C. 535) | 8년, 丁卯(B.C. 534) | 9년, 戊辰(B.C. 533) | 10년, 己巳(B.C. 532) | 11년, 庚午(B.C. 531) | 12년, 辛未(B.C. 530) | 13년, 壬申(B.C. 529) | 14년, 癸酉(B.C. 528) | 15년, 壬寅(B.C. 527) | 16년, 乙亥(B.C. 526) | 17년, 丙子(B.C. 525) | 18년, 丁丑(B.C. 524) | 19년, 戊寅(B.C. 523) | 20년, 己卯(B.C. 522) | 21년, 庚辰(B.C. 521) | 22년, 辛巳(B.C. 520) | 23년, 壬午(B.C. 519) | 24년, 癸未(B.C. 518) | 25년, 甲申(B.C. 517) | 26년, 乙酉(B.C. 516) | 27년, 丙戌(B.C. 515) | 28년, 丁亥(B.C. 514) | 29년, 戊子(B.C. 513) | 30년, 己丑(B.C. 512) | 31년, 庚寅(B.C. 511) | 32년, 辛卯(B.C. 510) |
책갈피 구분 昭公 원문 낭송 및 토론
책갈피 편명
♪ ♩ 토론
원년, 庚申(B.C. 541)
책갈피 1章 1節
토론
책갈피 1章 2節
토론
책갈피 1章 3節
토론
책갈피 1章 4節
토론
책갈피 1章 5節
토론
책갈피 1章 6節
토론
책갈피 1章 7節
토론
책갈피 1章 8節
토론
책갈피 1章 9節
토론
책갈피 1章 10節
토론
책갈피 1章 11節
토론
책갈피 1章 12節
토론
책갈피 1章 13節
토론
책갈피 1章 14節
토론
책갈피 1章 15節
토론
책갈피 1章 16節
토론
책갈피 1章 17節
토론
책갈피 1章 18節
토론
책갈피 1章 19節
토론
책갈피 1章 20節
토론
책갈피 1章 21節
토론
책갈피 1章 22節
토론
책갈피 1章 23節
토론
책갈피 1章 24節
토론
책갈피 1章 25節
토론
책갈피 1章 26節
토론
책갈피 1章 27節
토론
책갈피 1章 28節
토론
책갈피 1章 29節
토론
책갈피 1章 30節
토론
책갈피 1章 31節
토론
책갈피 1章 32節
토론
책갈피 1章 33節
토론
책갈피 1章 34節
토론
책갈피 1章 35節
토론
책갈피 1章 36節
토론
책갈피 1章 37節
토론
책갈피 1章 38節
토론
책갈피 1章 39節
토론
책갈피 1章 40節
토론
책갈피 1章 41節
토론
책갈피 1章 42節
토론
책갈피 1章 43節
토론
책갈피 1章 44節
토론
책갈피 1章 45節
토론
책갈피 1章 46節
토론
책갈피 1章 47節
對曰 節之니이다 先王之樂 所以節百事也 故有五節하니 遲速本末以相及하야 中聲以降하야 五降之後 不容彈矣하나니 於是 有煩手淫聲하야 慆堙心耳하면 乃忘平和 君子弗聽也하나니 物亦如之 至於煩 乃舍也已하야 無以生疾하나니라 君子之近琴瑟 以儀節也 非以慆心也 天有六氣하야 降生五味하며 發爲五色하며 徵爲五聲이니 淫生六疾이라 六氣 曰陰陽風雨晦明也 分爲四時하며 序爲五節이니 過則爲菑 陰淫 寒疾이요 陽淫 熱疾이요 風淫 末疾이요 雨淫 腹疾이요 晦淫 惑疾이요 明淫 心疾이라 陽物而晦時 淫則生內熱惑蠱之疾하나니 今君不節不時하니 能無及此乎
토론
책갈피 1章 48節
토론
책갈피 1章 49節
토론
Copyright @ (사)전통문화연구회 고전교육연구실